[김은아 미래생각] 환경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현재와 미래 (1) > 실시간

본문 바로가기


실시간
Home > 건강 > 실시간

[김은아 미래생각] 환경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현재와 미래 (1)

페이지 정보

국회미래연구원 부연구위원 김… 작성일19-09-25 17:52

본문

↑↑ 국회미래연구원 부연구위원 김은아우리는 미세먼지, 미세플라스틱, 환경호르몬, 라돈 등 환경유해인자를 피하기 어려운 환경 속에서 살고 있다.

  통계청의 '2018년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사회의 가장 주된 불안 요인으로 환경오염이 2016년 대비 가장 높은 비율로 증가했으며 경제적 위험보다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환경에서 노출되는 유해물질에 의한 환경성 질환(environmental disease) 발병 가능성에 대한 대중의 친숙도가 과거에 비해 높아졌다는 차원에서 변화를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미디어에서 다양하게 쏟아내는 환경 위해성(risk) 관련 정보를 자주 접할수록 정작 나 자신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서는 답하기 어려웠을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혼돈 상태에서 시민의 자구책으로 일명 '원효대사의 해골물'이 해법으로 등장했다는 글을 우연히 접하게 되었는데 그 해법의 요지는 내가 사는 환경이 오염되었다는(해골물) 자각 자체가 없으면 마음에 평화가 온다는 것이다.

  개인적 차원에서 일면 현명해 보이기까지 하나 초기 정보의 제공자인 정부나 정보 가공을 하는 언론의 입장에서는 위해성 소통(risk communication)의 실패를 보여주는 것일 수 있다. 이번 미래생각에서는 바람직한 환경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 정보의 생산자, 가공자, 수용자로서 정부, 미디어, 개인이 노력해야 할 부분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리스크 혹은 위해성은 용어 정의상 확률적으로 표현되어 애매하게 들릴 수밖에 없으며 지역적 편차가 큰 경우 중앙 정부는 모든 지역을 아우르는 모호한 메시지를 내보낼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우리는 중앙 정부로부터 '내가 사는 지역의 환경은 안전한가?'라는 민감한 질문에 '그렇다' 또는 '아니다'라는 선명한 대답을 듣기는 어려울 것이며 따라서 그 답을 찾기 위해서는 시민 스스로 필요한 정보를 추가 조사하여 재정리하는 연구자가 되어야 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민의 정보 해석역량이 물론 중요한 역할을 하겠지만 정부와 미디어는 시민의 '연구'를 도와주기 위하여 정보의 투명성과 신뢰도를 높이고, 다뤄지는 이슈의 프레임을 형성함에 있어서 균형 잡히고 통합적 시각을 제공해야 한다.

  환경통계 정보 관리 및 전달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정부는 오래전부터 환경 데이터 정보제공을 위한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매년 연평균, 도 단위 비교 등의 통계자료를 확정하여 웹에 공지하고 있으며 일부 대기오염물질과 수질오염물질의 경우에는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를 게시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공공데이터 개방지수 1위 국가로 데이터 제공 플랫폼이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시군구 이하의 단위로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는 찾기 어려운 상황인데 지역적인 편차가 큰 환경 위해성 정보의 경우 지자체 단위에서 정보제공 서비스가 이루어질 때 정보의 효용성이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스마트 시티 기술이 확산 적용될 미래에는 시민에게 제공될 로컬 데이터의 범위와 정보 서비스의 내용이 좀 더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편 정부는 각계 부처와 관련된 설명자료를 개별적으로 생산해 공지하고 있는데 미세먼지와 같이 환경부, 기상청, 보건복지부 등 다양한 부처와 관련된 환경변수의 통합적인 이해가 필요한 경우 파편화된 정보의 양적인 성장은 오히려 수용자 관점에서 과부하로 전해질 수 있다.

  대기오염, 기상환경과 건강영향 간의 상관관계를 파편화된 정보로부터 통합하는 것은 일반 시민에게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정부는 위해성을 결정하는 주요변수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일반 시민의 눈높이에서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지금보다는 정제된 정보로 구성된 콘텐츠를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계속>
국회미래연구원 부연구위원 김…   kua348@naver.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울릉·독도 신문. All rights reserved.
뉴스출처 : 경북신문 (www.kbsm.net)